Secret Sauce for Game Success
Speaker – Bob Meese (global head of games business development at Google Play)
우선 발표자는 2015년 순위권 대 별로 일자별 리텐션 그래프를 보이며 세션을 시작했습니다. 구글 플레이가 지원하는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게임을 관리해 나가는데 있어 어떤 변수들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지를 발표하는 것을 세션의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첫 번째로 게임 유저 접촉 및 다운로드에 실질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앱 아이콘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변경 시 유저 접촉의 변동 폭이 큰 것은 아이콘, 짧은 설명, 스크린샷, 긴 inflatable obstacle course 설명, 동영상, 피쳐 그래픽 순이었습니다. 특히 나머지 요소들이 4%이하의 변동폭을 보인 것에 비해 아이콘, 짧은 설명, 스크린샷은 8%이상의 변동폭을 나타내어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아이콘 및 스크린샷은 운영과정에서 반드시 AB테스트가 필요하며 피드백을 적용하여 이를 수차례 최적화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해당 사례를 몬스터 스트라이크의 로컬라이제이션 과정을 통해 설명했으며, 또한 아이콘과 스크린샷, 스플래시, 홈메뉴까지 통일성 있게 시각 정보를 구성하는 것이 유저의 몰입감과 리텐션을 높이는데 유리하다고 권장했습니다.
또한 현재 적용 중인 구글 플레이 사전예약 기능을 소개하며 기존 운영 중인 사전 프로모션 채널과 구글 플레이 사전예약 기능을 바인딩 해두면 실제 런칭 시, 기존의 어떤 수단보다 확실한 실제 다운로드로 유도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by Micheal Jung